환경부, 2023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잠정치 발표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2022년 이후 원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2420만톤(t)으로 잠정 집계됐다.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10일 ‘2023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잠정치를 공개했다.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2420만톤으로 전년인 2022년(6억5289만톤)에 견줘 2,859만톤가량 감소히여 4.4%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2022년 이후 원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이 본격적으로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전환(전기·열 생산) 부문에서 배출량이 7.6%(1650만톤) 감소해 그 규모가 제일 컸다. 환경부는 “전환 부문에서 발전량이 전년 대비 1% 감소한 부분이 컸다”며 “이어 온실가스 배출을 하지 않는 무탄소 발전인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증가하면서 배출량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다른 주요 부문에서도 배출량이 모두 감소했다. 산업부문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공정가스저감시설의 확대와 석유화학 시멘트 등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의 경기둔화에 따른 생산 감소로 전년대비 배출량이 3% 감소했다.
건물 부문도 따뜻한 겨울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라 사용량이 감소하면서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 부문도 주행거리 감소와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 줄었고, 농축수산 부문은 벼 재배면적의 감소 등의 영향에 따라 0.1%, 폐기물 부문은 매립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1.3% 줄었다.
환경부는 정부 에너지정책의 변화와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한 덕분에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1.4%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배출량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 당 배출량은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인 10억원당 313톤으로 나왔다. 반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국제에너지기구 등의 통계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중국(4.7%)과 인도(7%) 등 개도국은 증가했고, 미국(4.1%), 유럽연합(9%), 독일(10.1%), 일본(2.5%) 등 선진국은 감소했다”고 밝혔다.